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60

VPP (Virtual Power Plant), 가상발전소 - 1 A Virtual Power Plant is a network of decentralized, medium-scale power generating units such as wind farms, solar parks, and Combined Heat and Power (CHP) units, as well as flexible power consumers and storage systems. The interconnected units are dispatched through the central control room of the Virtual Power Plant but nonetheless remain independent in their operation and ownership. The objec.. 2021. 9. 2.
[논문정리] 전력계통 유연성 증가를 위한 앙상블 기법의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 4 4.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값을 활용한 전력계통 영향 분석 본 장에서는 출력 예측으로 얻은 값을 통해 전력계통의 송전선로 제약 영향을 검토하였다. 검토에 사용된 계통은 IEEE 39 bus system이며, IEEE 39 bus system은 전력 계통의 다양한 측면에 관한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시험용 시스템이다. 태양광 발전 설비의 투입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계통에 주는 영향을 파악해보기 위해 두 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시나리오별 정상상태, N-1상정고장 경우를 살펴보았다. 태양광 설비가 없는 경우 태양광 발전이 전체 발전 설비의 10%를 차지하는 경우 시나리오 2는 35번 버스에 전체 발전 설비의 10% 정도 되는 용량의 태양광 설비를 추가하였으며, 태양광 설비의 출력은 앞서 .. 2021. 8. 26.
8월 4주차 전력시장 기사 1. 올해 여름 전력대란 ‘호들갑’ 정부 정책 신뢰도 타격 정부는 올해 여름 전력수급이 8년 만에 처음으로 비상단계까지 발령될 가능성을 제기했었다. 올여름 전력수급은 큰 문제없이 지나가는 분위기지만, 정부 정책의 신뢰도에는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탈원전을 강조했던 정부는 지난달 말 전력수급 위기 가능성이 거론되자 정비 등으로 정지상태였던 신월성 1호기, 신고리 4호기, 월성 3호기 등 원전 3기를 애초 계획보다 서둘러 가동했다. 또한, 지난달 석탄화력발전소 전체 설비용량의 90% 이상을 매일 가동했다. 이번에는 실제 전력수요가 전망치를 크게 밑돌면서 정부가 지나치게 호들갑을 떨면서 위기감을 키운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정부 예측에 따라 발전업계도 에너지 수급 대책을 마련.. 2021. 8. 25.
[논문정리] 전력계통 유연성 증가를 위한 앙상블 기법의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 3 3. 태양광 발전소의 일사량과 출력 예측 본 논문에서는 전라남도에 위치한 태양광 발전소의 일사량과 태양광 출력 예측을 위해 태양광 발전소 주변의 온도, 습도, 일사량 관측이 가능한 기상관측소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상관관계 감쇠 거리를 계산했다. 온도, 습도, 일사량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지역에서 16개의 기상 관측소를 선정하였고, 모두 CDD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 정확한 예측 결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상위 50%의 상관관계를 갖는 거리 내에 있는 관측소를 선정하였고 총 8곳이 선정되었다. 미래의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을 하기 위해서는 예측이 진행되는 시점의 데이터가 준비되어있어야 한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온도, 습도 정도의 정보만 주간 단위로 제공을 해.. 2021. 8. 25.
[논문정리] 전력계통 유연성 증가를 위한 앙상블 기법의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 2 2.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기법 2-1.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의 필요성과 경제적 이점 태양광, 풍력과 같이 기상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는 변동성 전원이 증가하면서 변동성 전원의 계통 연계를 대비하기 위해 계통의 유연성을 향상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데 자주 사용되는 방안 중에는 재생에너지의 예측 기술이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소개되어 있다.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의 이점 전력계통의 효과적인 운영 태양광 발전의 출력 변동성에 대한 최적의 관리 전력 계통 예비력 산정 전력 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 혼잡 관리 최적의 저장장치 관리 생산된 전력의 시장에서의 거래 전력 생산 비용 감소의 효과 2-2. 공간 모델링 공간 모델링이란 기상 분석과 같은 지구과학 및 엔지니어링 등 다.. 2021. 8. 24.
[논문정리] 전력계통 유연성 증가를 위한 앙상블 기법의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 1 전력계통 유연성 증가를 위한 앙상블 기법의 태양광 발전 출력 예측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lar Power Forecasting Ensemble Model for Increasing Flexibility in Power System 2021년 2월 최성현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에너지원의 사용을 기존 화석 연료에서 지속 가능한 재생에너지원으로 바꾸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2030년까지 보급되는 재생에너지의 설비용량을 전체 발전량 비중의 20%인 48.7GW로 증가시키고, 2050년까지 5대 녹색 국가 중 하나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발전원은 미래 지향적이며 많은 장점이 있지만, 기상조건에 큰 영향을 받아 출력이 간헐적이고 변동성이 .. 2021. 8.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