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개요
- 전력계통이 자연재해에 의해 지락이나 단락사고 등이 발생하면 보호계전기가 사고를 검출하고, 차단기가 동작 사고개소를 분리하는 동안 순시전압강하 및 정전이 생기는 일이 발생
- 이때, 순시전압강하에서 중요부하를 지키기 위해 UPS가 사용됨
2. 단락보호
- 과전류 발생과 동시에 무순단 바이패스 측에서 공급을 절환하여 고장회로를 UPS 내부회로에서 분리
- 단락보호에는 바이패스에 의한 단락보호와 단락사고 보호용 기기 두 가지가 있음
2-1. 바이패스에 의한 단락보호 -> 고장전류에 의한 UPS 내부기기 보호
- UPS는 일반적으로 정격 출력전류의 150%정도로 과전류를 검출해 정지하며 과전류 발생과 동시에 공급 회로를 바이패스하여 공급회로를 전환
- 유의사항
- 고장전류에 의한 부하 측의 전압저하로 부하설비의 최저허용전압 범위를 넘어버리는 경우가 있음
- 정전 등에 의해 바이패스 전원이 건전하지 않을 때는 활용되지 않음
- 주파수 변환의 UPS에는 채택할 수 없음
2-2. 단락사고 보호용 기기 -> UPS 2차측 단락사고 보호 장치
- 1.배선용 차단기
- MCCB 차단기는 기계적 요소가 크기 때문에 차단까지 10ms 이상 소요
- 고장전류가 장시간 회로에 흐르기 때문에 부하단의 전압강하율이 커질 가능성이 있음
- 사고발생시 MCCB 차단시간과 부하단 전압강하율의 정도를 검토
- 속단퓨즈
- 2차측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차단시간이 짧아 한류차단기능을 사용
- 비 반복전류인 경우 정격의 170%정도, 반복전류의 경우 정격의 160% 정도 초과하는 경우 피로현상에 의해서 용단 (반도체보호용 속단퓨즈 사용)
- 자연열화에 의한 용단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정기간 사용 후 교환할 필요가 있음
- 반도체 차단기
- 차단시간은 100us로부터 150us정도
- 다른 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가능성이 대단히 좋음
- MCCB나 속단퓨즈에 비해 치수가 크고 고가
구분 | MCCB | 속단퓨즈 | 반도체 차단기 |
동작시간 1) 1.5배 과전류 2) 4배 전류시 3) 10배 전류 한류효과 |
1) 3s~30s 2) 10ms~4s 3) 없음 |
1) 20ms~600ms 2) 2ms~4ms 3) 있음 |
1) 100us~150us 2) 100us~150us 3) 제어회로 설정값으로 한류 |
적용한계 | 단시간 영역에서는 협조가 안됨 (10~20ms 이하 영역 |
수ms 이하의 영역에서 협조가 안됨 | 과부하 내량을 예쌍하고 협조가 쉬움 |
전류특성 | 반한시 특성 | 반한시 특성 | 일정특성 (정한시 특성) |
콘덴서 돌입전류 대책 | 문제없음 | 돌입전류 검토 | 돌입전류 검토 |
바이패스 회로 | 불필요 | 불필요 | 있는 쪽이 좋음 |
수명 | 트립횟수에 제한이 있음 | 자연열화로 5년마다 교체 | 정기적 점검 |
치수 | 소 | 중 | 대 |
가격 | 저가 | 중가 | 고가 |
* MCCB는 단락전류를 두번 이상 끊으면 성능이 반으로 줄어든다. E.g.) 15KA 용량이 10KA 두번은 끊게되면 15KA 성능이 7.5KA로 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3. 지락보호
3-1. 보호방식
- UPS의 2차측은 비접지방식이 많으며, 이러한 비접지회로는 1선 지락이 발생해도 지락전류가 작으므로 UPS는 이상없이 운전
- 보호방식 선정시 확실성, 사용회로의 최대량,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방식을 결정한
3-2. 지락사고의 보호기기
- 누전차단기에 의한 보호는 회로가 차단되어 부하기기에 전기공급이 정지가 되므로, 중요 부하의 경우에는 회로차단 대신에 경보기를 표시하는 경우가 많음
4. 발전기에 UPS 부하 적용시 유의점
4-1. 발전기 출력전압의 불안정 현상
- 원인 : 발전기와 UPS를 조합함으로써 회로조건에서 생기는 전기계의 자려진동현상 때문에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불안정해짐
- 대책 : 발전기 댐퍼권선의 저항이 작을수록 UPS 직류회로의 캐패시턴스 값을 작게 하면 안정됨
4-2. 발전기 자동전압제어장치(AVR)와 UPS 응답속도
- 원인
- 최근 UPS 교류입력 정류회로는 사이리스터를 사용한 위상제어로 바뀌어가고 있음
- 발전기의 AVR과 UPS의 제어장치 간의 제어응답상태에 따라서 전압의 불안정 현상이 발생
- 영향 : 발전기 자동전압제어장치(AVR)는 단자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을 제어하는데, 이때 고조파 전류에 의해 전압파형이 일그러지면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전압의 불안정현상이 발생
- 대책
- 발전기 AVR의 응답속도와 UPS의 응답속도를 엇갈리게 하는 방법이 효과적
- 실효값 검출형 AVR을 사용
4-3. UPS 운전모드(BY-PASS 운전모드)
- 원인 : UPS가 운전할 때 발전설비의 주파수와 UPS의 기준주파수 차이로 전압의 충돌 현상이 발생
- UPS는 상용전원을 입력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원동기 모드로 운전되고, 비상용 발전설비의 전원을 입력으로 하는 경우 수정발진 모드로 운전
- 영향 : 비동기 상태의 운전모드에서 절체시 UPS 2차측 부하 시스템의 다운 발생
- 대책 : UPS 요구 주파수 정밀도 내에 들어가도록(발전기의 거버너 정밀도를 올려) UPS가 정원동기 모드로 운전되도록 함
4-4. 전압파형의 일그러짐 발생
- 원인 : 발전기에 UPS 고조파 전류가 흐르면 전압파형이 일그러짐
- 영향 : 형광등 안전기, 콘덴서의 이상 과열, 계기 및 계전기의 오동작을 유발
- 대책 : 일반적으로 왜형률을 10% 이내로 유지하는 저 리액턴스의 발전기 사용 또는 액티브 필터 등에 의한 고조파 전류 저감대책을 마련
4-5. 발전기 역상전류의 내량을 강화한다. (고조파에 대한 발전기측 대책)
- 발전설비 용량의 결정에 발전기 역상전류 내량을 고려
- 이에 대한 대책으로 고조파 전류의 저감대책(다상 정류회로, 액티브 필터 등)의 채택과 역상전류 내량이 큰 발전기가 개발되고 있음
- 발전기의 역상전류 내량 향상을 위한 댐퍼권선의 강화는 발전기 병렬운전 시 난조방지 및 고조파 전류에 의한 전압파형 일그러짐의 억제 등에 효과
출처 : Youtube 김신일 기술사님 강의
728x90
'Energy > Oth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PS,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 2 (0) | 2021.12.02 |
---|---|
UPS,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 1 (1) | 2021.11.19 |
[에너지시스템신뢰도해석] 계통 신뢰도 해석 및 개선방안 제시 - 3 (0) | 2021.11.11 |
[에너지시스템신뢰도해석] 계통 신뢰도 해석 및 개선방안 제시 - 2 (0) | 2021.11.11 |
[에너지시스템신뢰도해석] 계통 신뢰도 해석 및 개선방안 제시 - 1 (0) | 2021.11.09 |